'고성그린파워(주)', 하청업체 선정과정 노조개입 논란

추광규 기자 | 기사입력 2020/08/07 [13:32]

'고성그린파워(주)', 하청업체 선정과정 노조개입 논란

추광규 기자 | 입력 : 2020/08/07 [13:32]

  사진 제공 = 정도정 기자



국내 최대 민자발전인 고성그린파워(주) 건설 과정에서 노조 간부가 시공사에 압력을 행사해 하청업체 선정에 개입하는 한편, 그 과정에서 하청업체로부터 금품을 제공받았다는 보도가 나왔다.

 

인터넷매체 <브릿지경제>는 7일 제보자의 주장을 근거로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거액의 금품이 오갔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어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매체는 이날 기사에서 제보자가 “▲영진기술(주)과의 계약해지가 거론되는 시점에 노조 간부 B씨가 한진중공업과 미팅을 가졌다 ▲이후 A업체가 영진기술(주)이 맡았던 공사애 대해 추가공사계약을 하고 공사를 시작하게 됐다 ▲A업체의 경우 시공능력 평가나 면허도 없는 상태에서 업체로 지정이 됐다 ▲한국남동발전이 협력업체 등록조건으로 면허 등 서류상 조건을 갖출 것을 요구하자 그때야 면허를 취득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A업체가 시공능력이나 면허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공사업체로 지정된 사유와 관련해서는 “▲이건 공사계약 이전인 지난 2018년 8월경부터 A업체 D대표와 노조간부 C씨가 자주 골프회동을 하는 등 상당히 친밀하게 지냈다 ▲A업체 D대표가 노조간부 C씨에게 7억 원에 해당하는 금전을 건넨 것으로 알고 있다 ▲이중 4억 원은 공증을 하고 빌려준 것이고, 3억 원은 공증도 없이 그냥 건네준 것”이라고 전했다.

 

계속해서 “▲공증해 준 차용금 4억 원에 대해서는 월정액으로 변제해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 ▲노조간부 C씨가 한진중공업에 A업체를 연결시켜준 것은 공사금액이나 이윤의 일정액을 나눠가지기로 한 것으로 보여진다 ▲A업체가 플랜트설비 공사뿐 아니라 타 업체의 저탄장 공사 및 소방공사 등도 하청 받아 공사 중에 있거나 마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중 일부는 하도급법 위반에 해당된다”는 점도 보도했다.

 

매체는 돈을 주고 받는 장소와 일자 등을 구체적으로 적시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A업체의 등기부 등을 근거로 “D씨는 동업 관계 또는 면허대여로 추정할 수 있는 합리적 의심마저 제기됐다”고도 전했다.

 

<브릿지경제>의 이 같은 보도에 노조 간부는 물론 A업체 등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하고 있다.

 

A업체 대표 D씨는 이 매체와의 취재에서 노조 간부 C씨에게 돈을 빌려준 것은 맞지만 공증을 하고 빌려주었을 뿐 아니라 또 월 2000만원씩 상환을 받고 있어 문제될 소지가 없다는 취지의 주장을 펼쳤다.

 

즉 “공증을 하고 노조 간부 C씨에게 4억 원을 빌려준 후 월 2000만 원 정도씩 상환을 받아 현재 2억5000만 원 정도가 미변제 상태에 있지만 3억 원을 추가로 준적은 없다”면서 “문제 될 소지는 없다고 본다”며 관련 사실을 부인한 것.

 

노조간부 C씨 또한 제보자의 주장에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브릿지경제>와 취재에서는 “D씨로부터 7억 원을 받았다는 것은 허무맹랑하다”면서도 “인건비조로 D씨에게 빌린 돈이 4억 원은 맞다. 1년 거치 4년 상환 무이자 조건으로 빌린 돈이고 현재 2억4900만 원 정도가 미변제 상태”라고 확인했다.

 

이어 “영진기술(주)은 부도를 내고 나가 버린 거고 우리 노조와 단협을 맺은 업체도 아니라 관심 밖의 업체에 불과하다”며 “3억 원을 내가 받았다는 건 명백한 허위사실유포에 해당되므로 제보자를 밝혀서 처벌을 요구할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영진기술(주)은 계약해지로 피해를 호소했다.

 

즉 “원도급자의 일방적 하도급 계약해지로 파산위기에 놓여 현장 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잃었다”며 “하도급 거래 관행에 대한 개선을 촉구하고 있는 정부의 의지와 달리 대기업의 일방적 하도급 계약 해지 통보에 공사를 진행하던 지역 건설사가 폐업 위기는 물론 일하던 근로자들까지 길거리에 내몰리게 됐다”고 하소연했다.

 

고성하이화력발전소 공사는 총 사업비 5조2000억 원이 투입된 국내 최대 민자발전(IPP)사업으로 지난 2016년 12월 국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역사상 최대 규모인 총 4조3400억 원의 PF를 성사시켜 관심을 모은 바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