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에서] 월성원전 삼중수소 누출...눈 감은 언론도 공범

임두만 편집위원장 | 기사입력 2021/01/12 [13:16]

[데스크에서] 월성원전 삼중수소 누출...눈 감은 언론도 공범

임두만 편집위원장 | 입력 : 2021/01/12 [13:16]

경북 월성 원자력본부의 발전소 부지에서 방사능 물질인 삼중수소가 기준치의 18.5배가 검출된 사실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애초 이 같은 사실이 외부조사가 아니라 한수원 자체 조사에서 드러난 사실로서 이를 포항MBC가 단독 보도하므로 알려졌다.

 

▲ 월성 원자력 본부 외부 전경     © 인터넷언론인연대 

 

그런데 이후 이 사실을 바라보는 언론들에서 이상한 기류가 나타나고 있다. 즉 본보를 비롯한 일부 인터넷 매체들, 특히 인터넷언론인연대 회원사들이 관심을 갖고 현장 취재 등으로 후속 보도에 나서고 있으나 일명 주류언론들은 보도의 관심 밖이기 때문이다.

 

반면 원전주창론자로서 ‘후쿠시마에도 사람이 산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한 대학교수의 ‘멸치 1g’발언을 중앙일보가 기사화, 방사능 물질 검출에 대한 물타기에 나선 것도 이채롭다.

 

하지만 MBC는 11일 뉴스데스크를 통해 “경북 월성 원전에서 방사성 물질인 삼중 수소가 검출 되면서, 혹시 주요 설비가 손상이 된 게 아니냐는 우려가 일고 있다”는 보도로 재차 불을 지폈다.

 

그리고는 “특히 4호기의 경우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방사능 수치가 크게 올라가는 양상을 보였고, 저장 수조에선 감마핵종 까지 검출돼 정밀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는 주장까지 펼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월성원전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에 대해 정치권에서 문제를 제기했다.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인 이용빈 의원(광주 광산갑 초선)이 지난 11일 국회 과방위 소속 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안전성 관점에서 본 월성1호기 문제와 대안’을 주제로 전문가 웹세미나를 진행하며 “검찰의 ‘월성1호기’ 수사는 대통령을 겨냥한 검찰 쿠데타”라고 강하게 비판한 것이다.

 

이날 이 의원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노후 원전의 안전성 문제는 제쳐두고 경제성 평가만 따진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안전성 검증이 확보되지 않은 노후 원전의 경제성 타령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하는 살인행위를 방조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 “원전 안전 철학이 반영된 생명경제의 관점에서 월성1호기 사태를 살피고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경제성 평가에 생명경제의 거대한 기회비용이 누락된 감사 결과를 들이대며 국민생명을 돈으로 환원하여 경시하는 것은 국민의 생명안전을 지키는 것을 첫번째 소임으로 하는 대통령의 원칙을 거스르며 국민에 칼끝을 겨눈 것과 다를 바 없음을 알아야 할 것”이라고 검찰을 질타했다.

 

이런 주장이 아니라도 현재 주류 언론들의 보도행태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언론이 권력을 비판하는 제1목적은 국리민복이다. 권력이 국민의 이익에 부합되지 않을 시 비판해야 한다. 국리민복 중 민복의 핵심은 국민의 생명이다. 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물질 유출이란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다. 따라서 이 사안에서 언론이 눈을 감으면 안 된다.

 

하지만 지금 MBC를 제외한 주류 언론들은 이 사안에 눈을 감고 있다. 이는 문재인 정권의 월성원전 폐쇄방침에  대해 자신들이 지금까지 비난한 점, 월성원전에 대한 감사원 감사, 검찰수사를 옹호했던 점에 대한 반사작용으로 언론 비난이 커질 것을 우려, 철저히 방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서 감사원 감사를 빌미로 공직자들을 검찰에 고발한 국민의힘이나 검찰이 이 고발건을 수사, 공무원들을 구속하는 과정에서 언론은 펄펄 날았다. 특히 수사의 칼끝이 원전폐쇄 공약을 한 문재인 대통령으로 향하고 있는 윤석열 검찰에 대해 언론들은 응원을 넘어 지원사격을 퍼부었다. 

 

하지만 원전시설 부실과 방사능 물질 누출이 문제로 드러났다. 그러자 언론은 입을 닫았다. 문재인 정권의 '무엇보다 국민생명을 중시한다'는 월성원전 문제제기가 옳았던 것이 드러나므로 당당했던 것들이 정치적 행위로 비난 받을 소지가 다분해진 때문일 것이다.

 

이에 정치권에서 드디어 '검찰 쿠데타'란 말까지 나왔다.

 

이날 세미나는 검찰이 2012년부터 제기됐던 ‘월성1호기 오염수 누출 시비’와 관련해, 인근 주민의 건강 악화, 노후시설 교체 등에 소요되는 사회적 비용을 따져보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또 후쿠시마 이후, 원전을 보유한 국가들이 안전철학을 강화한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안전철학이 부재한 경제성 논리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경시해 왔다는 점을 지적했다. 나아가 월성원전 부지 내 지하수에서 관리기준의 18배가 넘는 삼중수소가 검출된 사실이 드러났고 월성원전 인근 주변 주민들 갑상선암 발생율이 타 지역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상황에 대해서도 전문가들의 지적이 있었다.

 

그래서다. 지금이라도 언론들은 이 사안에서 눈을 부릅떠야 한다. 귀를 열고 손발을 움직여 사태의 본질을 추적 보도해야 한다. 문재인과 윤석열의 문제가 아니다. 윤석열 검찰이 ‘검찰 이익’을 위해 이 건으로 권력을 협박했다면 이 또한 언론은 가차 없이 비난해야 한다. 

 

후쿠시마나 체르노빌이 원전사고 이후 인근 30km이내 주민들을 모두 소개시킨 것을 우리는 똑똑히 보았다. 원전은 필요한 시설이지만 위험한 시설이다. 언론은 이를 모두 중시해야 한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