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사진=인터넷언론인연대 취재본부 편집=추광규 기자]
고려대출판원이 '남북한 어문 규범의 변천과 과제(이관규 지음, 448쪽)를 출간했다.
이 책은 조선어학회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을 중심으로 남북한의 맞춤법, 띄어쓰기법, 발음법, 문장 부호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등 모든 어문 규범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실제 사용례를 꼼꼼히 살펴본 다음 궁극적으로는 남북한 어문 규범 통일안을 제안한다.
남북한은 각자 사용하는 말을 한국어 혹은 조선어라 부르지만, 당연히 같은 뿌리의 같은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단 70년의 세월은 결코 짧지 않다. 그 시간만큼 부분부분 사소한 차이도 많이 생겨났다. 더 늦기 전에 이를 수시로 바로잡고 소통시킬 준거가 필요하다. 그 점에 특별히 주목한 이 책은 통일을 위한 여러 준비 중 하나로 남북 어문 규범 통일안을 제시한다.
이 책을 저술한 고려대학교 이관규 교수는 머리말에서 "다행히도 남한과 북한이 갖고 있는 각각의 어문 규범은 공통점이 무척 많다. 이질적인 점이 발견되기도 하지만 그리 심각한 것이 아니다."라고 조심스럽게 낙관한다.
이어 "띄어쓰기가 남한은 띄어 쓰고 북한은 대체로 붙여 쓰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이 문제도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글을 쓸 때 얼마큼 띄느냐의 문제는 얼마나 잘 읽히느냐의 문제로 파악하면 된다."라며, "사실 남한이나 북한이나 원칙이 있고 또 필요에 따라 허용이라고 하는 열쇠도 존재한다."고 강조한다.
겨레말큰사전 남북공동편찬위원회 편찬위원장인 고려대학교 홍종선 명예교수는 추천사에서 "오늘날 우리는 남과 북의 우리말이 더 이상 급격하게 벌어지는 것에 많은 우려를 하는데, 이 시점에 우리나라의 남과 북에서 사용하는 국어의 남북 어문 규범을 비교 고찰한 연구서가 나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 책의 저자는 남과 북의 언어 실태나 교과서 등에 관해 오랫동안 연구를 많이 해 왔고, 이 책도 그 축적의 성과물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며 저자의 오랜 노력과 탄탄한 논거를 크게 칭찬하고, 그 실용적 효과에 대한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남북한의 어문 규범은 일제 강점기 조선어학회에서 만든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에 뿌리를 두고 있다. 1945년 광복의 기쁨을 누리기도 전에 우리나라는 남북한 분단의 시기로 접어들었다. 남한은 자본주의 진영과, 북한은 공산주의 진영과 주로 교류하면서 서로 지향하는 방향이 달라졌다. 말과 글 문제에서도 접하는 언어들이 많이 다르다 보니 외래어 표기법 등에서 이질화의 길을 걷게 됐다.
통일을 대비하는 차원에서라도 남북 언어의 통일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첫걸음으로 남북한의 어문 규범을 면밀히 살펴야만 한다. 두 어문 규범이 어떤 변천 과정을 겪었고, 그 결과 현재 남북한 어문 규범이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나아가 통일 시대를 준비하면서 어떤 방향으로 어문 규범을 합일시켜 나갈지 등을 이 책은 적극적으로 모색한다.
구체적으로는 남북한 어문 규범의 이질화 극복 방안으로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부터 현행 어문 규범인 《한국 어문 규정집》과 《조선말규범집》까지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나아가 남북한 어문 규정 통일안을 제안한다. 이 책이 제안하는 어문 규정 통일안은 남북한이 이미 1992년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요구로 학자들 차원에서 '로마자 표기법 통일안'을 도출한 바 있다는 점에서 현실적이기도 하다. 이미 한 번 통일안에 합의해 본 경험이 있는 만큼 다른 어문 규정에서도 통일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남북 분단이 고착화된 상황에서 통일로 가는 길은 멀게만 보인다. 그럼에도 우리의 평화와 안녕을 위해 통일은 반드시 이뤄야 하는 지상과제다. 당장 이룰 수 없다 하더라도 통일을 달성하기 위한 준비는 꼭 필요하다.
남한과 북한은 여러 차이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언어를 사용한다. 원래 하나의 나라, 하나의 민족이었으므로 당연한 일이다. 같은 언어, 같은 민족인 통일 독일이 이미 그 선례를 보였으므로, 우리의 통일도 너무나도 당연한 미래로 그려진다.
남북은 마땅히 하나로 합쳐져야 하고, 주변국을 비롯한 전 세계인에게도 외세에 의해 분루를 삼키며 둘로 찢어진 남한과 북한의 통일을 당연시 여기게 하는 긍정적 설명 노력이 활발히 펼쳐질 필요가 있다. 그 과정에서도 이 책은 좋은 모범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신문고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