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점상 활동가들, DNA 채취에 헌법소원 청구

추광규 기자 | 기사입력 2017/06/05 [14:23]

노점상 활동가들, DNA 채취에 헌법소원 청구

추광규 기자 | 입력 : 2017/06/05 [14:23]

 

검찰이 노점상 활동가들에 대하여 강제로 디엔에이(DNA)를 채취한 것과 관련해 신체의 자유와 평등원칙 및 법률유보의 원칙 등에 반하여 위헌이라는 이유를 들어 헌법소원이 제기됐다.

 

 

 

 

민주노점상전국연합,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공익인권변론센터, 진보네트워크센터는 5일 헌법 소원 제기 사실을 밝히면서 "국가는 위헌적이고 무분별한 DNA 채취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체들은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3월 24일과 28일, 검찰은 노점상 활동가들에 대하여 강제로 디엔에이(DNA)를 채취하였다"면서 "이들이 2013년 서울 구로구 한 아울렛 매장이 노점을 철거한 데 항의하며 쇼핑몰 안에서 집회를 하여 집단주거침입을 했다는 이유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회적 약자의 생존권을 위해 항의를 했다는 이유로 국가에 의해 DNA를 채취당한 노점상 활동가들은, 6월 5일 이에 대한 헌법소원을 제기한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DNA는 민감한 개인정보이다. 본인 뿐 아니라 전체 가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 DNA 데이터베이스는 유전자 전체가 일치하는 본인을 식별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유전자의 일부가 일치하는 전체 가족도 수사대상으로 삼는 인권침해 가능성이 높다. 국가가 DNA를 채취하여 보관하는 것은 매우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져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2010년 7월 제정된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디엔에이법)은 강력범죄자의 재범을 방지하겠다는 명분으로 제안되었다"면서 "그러나 그 채취 대상범죄를 무려 열 한 개로 확대하였고 그 가운데 강력범죄라 보기 어려운 주거침입, 퇴거불응도 포함되었다. 이로 인해서 농성 등의 행위로 주거침입죄, 퇴거불응죄를 선고받은 이들에 대한 DNA 채취가 시작되었다"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계속해서 "국가가 사회 문제에 저항한 이들을 가해자로 지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이들의 DNA를 보관하여 같은 유전자를 공유하는 전체 가족을 국가 감시의 굴레에 가두는 것"이라면서 "이것은 첨단수사가 아니라 중대한 인권침해"라고 강조했다.

 

단체들은 "이에 지난 2011년 DNA를 채취당한 용산 철거민과 쌍용 노동자들이 헌법소원을 제기하였다"면서 "그러나 2014년 8월 헌법재판소는 이 법이 위헌이 아니라고 결정하였다. 국가가 과잉하여 DNA를 채취하고 보관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당시 4인의 재판관이 이 법률의 위헌성을 지적하였고, 이들이 우려했던 일이 이번에 일어났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DNA를 채취당한 노점상 활동가들은 경제적 약자인 동료 노점상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 약 20여 분간 아울렛 매장 안 바닥에 앉아 구호를 외쳤다가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면서 "국가가 이들까지 DNA 채취 대상으로 삼는 것이 공권력의 무분별한 남용이 아니면 무엇이란 말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단체들은 또한 "게다가 노점상 활동가들의 DNA가 채취는, 위헌성이 있어 해당 조항이 전부 삭제된 바 있는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조항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면서 "결국 이번 DNA 채취는 법률상 근거도 없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노점상 활동가들에게 DNA를 채취한 것은 이 법의 제정 취지에 어긋날 뿐더러 저항하는 시민에 대한 국가의 탄압"이라면서 "검찰이 DNA 감식시료를 채취한 행위는 당사자들의 신체의 자유,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인격권, 행복추구권,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고, 적법절차, 영장주의의 원칙, 평등원칙 및 법률유보의 원칙에 반하여 위헌이다. 국가는 위헌적이고 무분별한 DNA 채취를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오늘 헌법소원의 대리인으로 법률사무소 단심 신윤경 변호사, 법무법인 동화 이혜정 변호사 등이 나섰다. 이번 헌법소원은 민변 공익인권변론센터의 지원을 받았다.

 

  • 도배방지 이미지